자기계발 (2) 썸네일형 리스트형 [RGorae’s Book Review #5] 이연의 「매일을 헤엄치는 법」 – 꾸준함보단 '나답게 버티기' 이연 그림에세이 「매일을 헤엄치는 법」 리뷰꾸준함의 힘 습관개선 프로젝트를 실천하면서 여러 책을 읽고 있다.매일 수영이 힘들었던 나에게 「매일을 헤엄치는 법」이라는 제목은 유난히 오래 머물렀다.그 제목만으로도 내 하루의 감정과 닮아 있었기 때문이다.매일을 버텨내는 일상이 어느새 ‘헤엄치는 일’처럼 느껴졌던 요즘, 이 책은 마치 내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했다.며칠 되지는 않았지만, '꾸준함'이 힘겨워질 때면 나는 이책의 제목인 「매일을 헤엄치는 법」을 떠올리게 될 것 같다.'매일' '헤엄치다' 이 두단어의 조합은 단순하지만, 묘하게 마음을 붙잡는다.끝없이 반복되는 하루 속에서도 잠시 숨을 고르고 다시 나아가야 한다는 뜻처럼 들린다.아마 앞으로도 지칠 때마다 이 문장을 나에게 건넬 것 같다. ‘그래, 오늘도 .. [RGorae’s Note #3] 왜 습관은 작심삼일로 끝날까? – 회복력의 심리학 습관 형성의 진짜 비밀: 의지가 아니라 회복력이다 습관을 바꾸기로 결심한 사람 중 대부분은 며칠 안에 그 결심이 무너지는 경험을 한다.처음 며칠은 새로운 루틴이 잘 지켜지지만, 일주일쯤 지나면 피로감이 몰려오고,결국 “내 의지가 약해서 그래”라는 자책으로 끝나곤 한다.이 패턴은 누구에게나 익숙하다. 사람은 새로운 시도를 시작할 때 동기부여가 최고조에 달하지만,그 에너지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뇌는 익숙한 행동을 유지하려는 본능이 있기 때문이다.그 결과 새로운 루틴은 불편함으로 인식되고, 결국 예전의 편안한 습관으로 되돌아간다.이 반복은 개인의 성격 문제가 아니라 뇌의 작동 원리와 관련이 있다.그래서 흡연, 게임중독, 알코올 중독 등과 같은 나쁜 습관은 의도하지 않아도 저절로 굳어진다.‘의식적 노력’보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