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습관 개선 프로젝트 #4] ‘감사일기’를 통해 달라질 나의 마음

📑 목차

     

    [습관 개선 프로젝트]

    감사일기 쓰기 – 오늘부터 마음의 기록을 시작하다

     

    어느 날 책에서
    “하루에 한 번씩 짧게라도 감사일기를 작성하면 긍정적인 하루를 만들어갈 수 있다”
    라는 요지의 문장을 보았다.
    단순한 문장이었지만, 묘하게 오래 마음에 남았다.

    감사하다는 마음, 고마운 일에 집중하는 태도.
    말로는 익숙했지만 정작 내 삶 속에서는 얼마나 실천하고 있었을까 생각해 보았다.
    그래서 오늘, 아주 작게라도 변화를 만들어보기로 했다.
    오늘부터 감사일기를 써보기로 한 것이다.


     “감사”를 글로 남긴다는 것의 의미

    감사일기를 쓴다는 건, 단순히 고마운 일을 적는 행위 이상인 것 같다.
    그건 하루를 다시 바라보는 시선의 전환이기도 하다.

    우리는 하루 동안 수많은 일을 겪는다.
    출근길의 혼잡함, 예기치 못한 업무, 사람들과의 대화, 피로감.
    그 안에서 좋은 일도 있지만, 나쁜 일이나 불편한 일에 더 쉽게 집중하게 된다.

    하지만 감사일기는 그 반대를 연습하게 한다.
    ‘무엇이 나를 힘들게 했는가’가 아니라
    ‘무엇이 나를 기쁘게 했는가’를 떠올리게 만든다.
    이건 단순히 긍정적으로 생각하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감사일기를 쓰는 건,
    “하루를 내 손으로 정리하고, 그 안에서 의미를 스스로 찾아내는 시간”이다.
    그 의미가 크지 않아도, ‘이 순간이 괜찮았다’고 적는 행위 자체가 마음을 단단하게 만든다.
    그래서 나는 오늘부터 이 기록을 시작하려 한다.

      첫날의 어색함, 그러나 기대되는 변화

    처음 감사일기를 쓰려니 막막했다.
    무엇을 감사해야 할지 떠오르지 않았다.
    “오늘 특별한 일도 없었는데…”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하지만 억지로라도 펜을 들고 오늘 하루를 돌아보니,
    작지만 분명히 고마운 순간들이 있었다.

    • 아침에 늦잠을 자지 않고 일어났던 일
    • 출근길에 날씨가 포근했던 것
    • 점심시간에 동료가 건넨 웃음 한마디

    그 순간들은 아주 사소했지만,
    적어보니 마음이 조금 따뜻해졌다.
    그냥 ‘하루가 지나갔다’고 느꼈던 시간 속에도
    이렇게 고마운 일들이 숨어 있었구나 싶었다.


    ‘별일 없던 하루’가 아니라,
    ‘작지만 고마운 하루’로 기억된다.

    아마 이것이 감사일기의 첫 번째 변화일 것이다.

     감사일기의 심리적 효과

    심리학자 로버트 에몬스(Robert Emmons)의 연구에 따르면,
    매일 감사일기를 작성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행복감이 높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2주 동안 감사일기를 쓴 참가자들의 수면의 질이 좋아지고,
    일상 만족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결과도 있었다.

    감사일기를 쓰는 습관은 단순한 기분 개선을 넘어서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회복하게 만든다.
    “나는 지금 이 순간에도 괜찮은 삶을 살고 있다”는 감각을 되찾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치거나 무기력할 때, 감사일기는 삶의 균형을 다시 세워주는 도구가 된다.

     감사일기를 쓰며 기대하는 마음의 변화

    나는 이제 이 습관을 시작한 초보 이다.
    그래서 “감사일기를 쓰면 인생이 달라졌다”는 식의 멋진 말은 못 하겠다.

    하지만 하나만 확실히 돼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음의 초점이 조금 달라질 거다.

     

    예전엔 하루를 돌아볼 때,
    “오늘 왜 이렇게 피곤하지?”, “이 일은 왜 이렇게 꼬였지?”

    이런 부정적인 생각부터 떠올랐다.

    그런데 오늘은,
    이런 부정적인 생각들이 떠오르는 와중에, 

    ‘그래도 괜찮았던 일’을 쓰기 위해 생각해 내려고 노력하고

    결국에는 아주 사소한 것을 찾아내고

    혼자 웃으며 이런 작은 소스를 발견한 거에 기뻐하고 있다.

     

    이건 아주 작은 변화지만,
    그만큼 마음이 부드러워지는 느낌이다.

     

    앞으로 며칠, 몇 주, 몇 달이 지나

    내년 11월 쯤이 되면

     

    '이 습관이 부정적인 생각이 가득 차있고

    염세적인 나를 긍정적인 방향을 바꿔줄지도 모르겠다.'라는 희망이 보인다.


    감사는 상황을 바꾸지 않지만,
    상황을 바라보는 ‘나의 태도’ 를 바꿔준다.
    그 차이가 쌓이면 삶의 결이 달라진다고 믿는다.

      감사일기를 꾸준히 쓰기 위한 나만의 방식

    시작은 누구나 쉽다.
    어렵고 중요한 건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스스로에게 몇 가지 작은 규칙을 세워봤다.

    1. 매일 밤, 잠들기 전 10분
      침대 머리맡에 노트를 두고 하루를 정리한다.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오늘 있었던 일 중 마음에 남는 순간을 천천히 떠올린다.
    2. 다섯 줄 규칙
      길게 쓰지 않는다.
      아무리 바쁜 날이라도 다섯 줄이면 충분하다.
      ‘감사해야지’가 아니라 ‘오늘 좋았던 일’을 적는다는 마음으로 가볍게 쓴다.
    3. 감정 한 줄 덧붙이기
      “왜 고마웠는지” 한 줄을 꼭 덧붙인다.
      단순히 “커피가 맛있었다”보다는
      “따뜻한 커피를 마시며 잠시 쉬는 시간이 주어져서 고마웠다”라고 적는다.
      이렇게 하면 글이 살아나고, 그 순간의 감정이 다시 느껴진다.
    4. 한 주에 한 번 돌아보기
      일요일 밤에는 그 주의 감사일기를 한 번 읽어본다.
      그러면 일상의 소소한 기쁨들이 얼마나 많았는지 새삼 깨닫게 된다.

    이건 거창한 자기계발이 아니라,
    그저 나를 조금 더 따뜻하게 돌보는 방식이다.

      아직은 첫날, 그러나 이미 달라진 감정

    오늘 처음 감사일기를 쓰면서 느낀 건 ‘차분함’이었다.
    처음엔 그냥 숙제처럼 느껴졌지만,
    쓰는 동안 마음이 조금씩 정리되는 기분이 들었다.

    글로 적는 순간,
    머릿속의 혼잡했던 생각들이 한 줄씩 정돈되는 느낌이었다.
    그게 참 신기했다.

    감사일기를 쓴다고 해서 내일 아침부터 삶이 완벽해지진 않겠지만,
    오늘보다 조금 더 따뜻한 시선으로 하루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게 내가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다.

     

    감사일기 1일차

     작은 감사를 발견하는 눈

     

    감사일기를 쓰다 보면,
    아마 ‘감사할 일’을 억지로 찾는 게 아니라
    ‘감사할 수 있는 마음’을 키워가게 될 것 같다.

    길을 걷다가 불어오는 바람,
    누군가의 사소한 친절,
    혼자 있는 시간의 고요함까지도
    “괜찮다”, “고맙다”는 말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감사는 습관이 되고,
    습관은 결국 성격이 된다.
    그리고 그 성격이 나의 하루를, 인생을 만들어간다.

    오늘의 첫 기록은 아주 작지만,
    그 시작이 내일의 마음을 조금 더 밝게 비춰줄 거라 믿는다.

     


     

     

    하루의 끝, 아주 작은 실천 하나가 나를 조금 더 나답게 만든다고 믿는다.

    오늘의 습관이 내일의 나를 만들고, 그 반복이 결국 삶의 방향을 바꾼다.

    이 프로젝트는 완벽함보다 꾸준함에 초점을 두고 있다.
    때로는 잊을 수도 있고, 미루는 날이 생길 수도 있지만 —
    중요한 건 다시 시작하는 힘,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다음 글에서는 「매일 독서가 주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한다.
    혹시라도 저처럼 2026년을 위해 2025년을 마무리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함께 천천히 걸어가요

    습관 개선 프로젝트, 2026년을 위한 작은 디딤돌.